전동 공구 대여하는 방법 3가지
자주 쓸 일은 없지만 종종 전동 공구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합니다. 가구 조립이나 커튼 설치에 필요한 전동 드릴처럼 간단한 공구부터 커다란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원형 톱이나 각도 절단기 등 전문적인 공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
잠깐 사용하기 위해 공구를 구매하기는 조금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. 이럴 때 무료 또는 적은 비용으로 전동 공구를 대여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Contents
전동 공구를 무료 또는 적은 비용으로 대여하는 3가지 방법
관리사무소(경비실)에 문의하기
첫 번째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공구를 대여할 수 있는지 문의하는 방법입니다. 일반적으로 거주 여부 확인 및 간단한 인적 사항 기재 후 무료로 공구를 대여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관리사무소의 방침에 따라 공구 대여가 불가능할 수 있으니 꼭 전화로 공구 대여 가능 여부를 문의 후에 방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.
행정복지센터/주민센터(동사무소) 문의하기(서울시 공유허브 검색)
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공구를 대여할 수 없는 분들께 추천 드리는 방법입니다. 거주하는 지역의 행정복지센터나 주민센터(동사무소)에 공구 대여를 문의하는 것입니다.
서울시 대부분의 행정복지센터는 지역 거주민을 위한 공구 대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, 무료이거나 아주 적은 대여료를 지불하고 공구를 빌릴 수 있습니다. 대여 기간은 보통 대여일과 반납일을 포함하여 3일이며, 행정복지센터마다 기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.
본인이 거주하는 행정복지센터에 필요로 하는 공구가 없거나, 대여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다른 지역의 공구 대여소를 활용하는 방법 또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
'서울시 공유허브'에 접속하면 서비스 메뉴에 '공구찾기'가 있습니다. 공구찾기 서비스에 접속하면 서울시 전체 공구 대여소의 공구 현황과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내가 거주하고 있는 자치구와 가까운 지역들을 검색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다만 서울시 공유허브의 공구찾기 서비스는 자치구 거주자를 우선으로 하며, 일부 대여소의 경우 해당 동 거주자만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 공구 대여 예약 전에 해당 대여소에 전화하셔서 거주지 조건을 확인하셔야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네이버 지도에 검색하기
마지막은 네이버 지도에 검색하는 방법입니다. 의외로 많은 분들께서 철물점이나 공구 판매점에서 공구 대여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. 집 근처 철물점이나 공구를 판매하는 가게가 있다면 공구 대여도 가능한지 문의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.
만약 집 근처에 철물점이 없으시다면 네이버 지도에 '공구'를 검색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. 리스트의 가게 중 간판 사진 또는 가게의 전면 사진을 보면 공구 대여가 가능한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간혹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 가게임에도 불구하고 지도상에 노출될 수 있으니 꼭 전화로 문의 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.
행정복지센터에서 공구를 대여하는 것보다는 대여료가 많이 들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으로 추천드리는 방법이지만, 경우에 따라 가장 간편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.
대여료의 기준은 가게마다 다르기 때문에 직접 문의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.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'제일공구 CT64RS' 장비를 일주일 동안 빌리는 데 2만 원 정도의 대여료가 발생했습니다.
전동 공구를 무료 또는 적은 비용으로 대여할 수 있는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 밖에도 '당근마켓'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공구를 저렴하게 구매/대여할 수도 있으며, '숨고'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문가에게 작업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.